2013년 3월 18일 월요일

[JSP] 게시판 만들기!

게시판을 배워보는 것은 프로그래밍의 필수적인 요소를 모두 익힐 수 있는 좋은 과정이다.

그 이유는 게시물을 생성(Create), 읽기(Read), 수정(Update), 삭제(Delete) 하면서 데이터의 흐름을 이해하고 어떻게 데이터를 전달하고 저장하는지에 대해 전반적으로 알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프로그래밍 실력을 키울 수 있는 좋은 예인 것이다.

제작할 게시판에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추가할 것이다.
1. 답글
2. 페이지 처리
3. 검색
4. 파일 업/다운
5. 이미지 게시판

지금까지 배운 JSP를 위주로 구현해 나갈 것이며 EL, JSTL태그도 많이 사용할 것이다.

코드를 위주로 알아보자.
우선 게시판을 위한 DB 테이블이 필요하다.

create table board(
b_id number(5) primary key,
b_name varchar2(20),
b_title varchar2(50),
b_content varchar2(3000),
b_pwd varchar2(10),
b_date date,
b_hit number(5) default 0,
b_ref number(5),
b_step number(5),
b_level number(5),
b_parentid number(5)
)

보통 게시판에 글을 올릴 때 필요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ref, step, level, parent라는 컬럼에 대해서는 의아할 것이다. 이 컬럼들은 해당하는 글의 답글을 달기 위해 필요한 요소이다.

ref : 부모의 그룹번호
step : 부모의 글을 기준으로 순서 결정
level : 답글을 나타내는 들여쓰기를 위한 속성
parentid : 부모의 글 번호

다음으로 게시판에 삽입될 하나의 글 객체를 위한 클래스이다.
public class Board {
private int b_id;
private String b_name;
private String b_title;
private String b_content;
private String b_pwd;
private Timestamp b_date;
private int b_hit;
private int b_ref;
private int b_step;
private int b_level;
private int b_parentid;
}
///////////////////////////////////////////////////////////////////////////////////////////////////
글 하나를 게시판에 삽입할 Dao클래스
//////////////////////////////////////////////////////////////////////////////////////////////////
public class BoardDao {
private static BoardDao dao = new BoardDao();

public static BoardDao getInstance() {
return dao;
}

public Connection getConnection() throws Exception {
Context ctx = new InitialContext();
DataSource ds = (DataSource) ctx.lookup("java:comp/env/jdbc/oracle");
return ds.getConnection();
}

public int insertBoard(Board board) {
int re = -1;
Connection con = null;
PreparedStatement pstmt = null;
ResultSet rs = null;
String sql = "";
int number = 0;// 글번호를 저장

int b_id = board.getB_id();
int b_ref = board.getB_ref();
int b_step = board.getB_step();
int b_level = board.getB_level();
int b_parentid = board.getB_parentid();

try {
con = getConnection();
// 글번호를 미리 생성
sql = "select max(b_id) from board";
pstmt = con.prepareStatement(sql);
rs = pstmt.executeQuery();

if (rs.next()) {
number = rs.getInt(1) + 1;// 현재 작성한 글번호를 이전에 작성한 글에 +1을 해서 구한다
}
// 답변글일 때
if (b_id != 0) {
sql = "update board set b_step = b_step + 1 where b_ref = ? AND b_step > ?";
pstmt = con.prepareStatement(sql);
pstmt.setInt(1, b_ref);
pstmt.setInt(2, b_step);
pstmt.executeUpdate();

b_step = b_step + 1;// 나의 b_step
b_level = b_level + 1;// 나의 b_level
b_parentid = b_id;// 나의 b_parentid
} else {
// 원본글일 때
b_ref = number;
b_step = 0;
b_level = 0;
b_parentid = 0;
}

sql = "insert into board values(?, ?, ?, ?, ?, ?, ?, ?, ?, ?, ?)";
pstmt = con.prepareStatement(sql);
pstmt.setInt(1, number);
pstmt.setString(2, board.getB_name());
pstmt.setString(3, board.getB_title());
pstmt.setString(4, board.getB_content());
pstmt.setString(5, board.getB_pwd());
pstmt.setTimestamp(6, board.getB_date());
pstmt.setInt(7, board.getB_hit());
pstmt.setInt(8, b_ref);
pstmt.setInt(9, b_step);
pstmt.setInt(10, b_level);
pstmt.setInt(11, b_parentid);

re = pstmt.executeUpdate();
} catch (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finally {
try {
if (rs != null) {
rs.close();
}
if (pstmt != null) {
pstmt.close();
}
if (con != null) {
con.close();
}
} catch (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
return re;
}

게시물 등록 메서드이다. 나머지는 조금씩의 수정이 필요.

[JSP] 필터

필터는 JSP/서블릿 등을 실행하기 이전에 요청이 올바른지 또는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가졌는지의 여부를 미리 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며, JSP나 서블릿이 생성한 응답 데이터를 변경하거나 취소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해준다.

2013년 3월 16일 토요일

[JSP] 쿠키와 세션

http은 웹 상에서 html화면을 브라우저로 보여주는 기능에 최적화 되어 있는 프로토콜이다. 이 프로토콜 덕분에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사용하는데 전혀 무리가 없는 것이다.

그런데 이 프로토콜에 한가지 맹점이 있다. 그것은 웹 서버에서 사용자를 식별하거나 접속을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쿠키와 세션을 사용한다. 쿠키를 활용하면 클라이언트가 웹 서버에 요청할 때 쿠키를 함께 전달하여 서버가 사용자의 정보를 읽어올 수 있으며 서버에 세션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접속상태를 확인해 줄 수 있다.

우선 쿠키에 대해 알아보자.

쿠키
- 웹 브라우저가 보관하고 있는 데이터로서, 웹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 쿠키를 함께 전송한다.

쿠키의 구성
이름 - 쿠쿠를 구별하는데 사용되는 이름
값 - 쿠키의 이름으로 얻을 수 있는 데이터
유효 시간 - 쿠키의 유지 시간
도메인  - 쿠키를 전송할 도메인
경로 - 쿠키를 전송할 요청 경로

쿠키 생성 후 전달
Cookie cookie = new Cookie("cookieName", "cookieValue");
response.addCookie(cookie);

쿠키 값 읽어오기
Cookie[] cookies = request.getCookie();
request 객체를 통하여 쿠키배열을 얻을 수 있다. 전송된 쿠키를 활용하기 전 항상 null인지 확인하도록 하자.

쿠키 값 변경
Cookie cookie = new Cookie("기존의 이름", "새로운 값");

쿠키 삭제 및 유효시간 설정
cookie.setMaxAge(0);//삭제
cookie.setMaxAge(60*60);//1시간 설정

도메인 설정
cookie.setDomain(".somehost.com"); www.somehost.com이나 mail.somehost.com과 같은 모든 호스트로 쿠키 전송

경로 설정
cookie.setPath("원하는 경로");


세션
- 세션은 웹 브라우저에 정보를 웹 컨테이너에 보관할 때 사용된다. 즉, 서버에서만 생성된다. 세션은 웹 브라우저마다 따로 존재하기 때문에 웹 브라우저와 관련된 1 대 1 정보를 저장하기에 알맞은 장소다. 또한 쿠키보다는 세션을 더 많이 사용하는데 가장 큰 이유는 보안 때문이다. 쿠키의 경우 웹 브라우저로부터 데이터를 전달시 중간에서 누군가에 의해 쿠키의 값을 읽을 수 있다. 하지만 세션은 서버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그러한 문제점이 없다.

JSP에서는 session이 보통 내장 객체로 제공되기 때문에 쉽게 사용할 수 있다.

session 메서드
getId() : 세션의 고유 ID를 얻음
getCreationTime() : 세션이 생성된 시간을 구함
getLastAccessedTime() : 웹 브라우저가 가장 마지막에 세션을 접근한 시간
session.setAttribute("이름", "값");//세션에 이름으로 값을 저장
session.getAttribute("이름");//세션에서 이름이르 값을 얻음
session.invalidate();//세션 종료
session.setMaxInactiveInterval(60*60);//세션의 유효 시간을 1시간으로 설정(default로 30분)

2013년 3월 14일 목요일

[JSP] JSTL

JSTL은 유용한 커스텀 액션을 포함하고 있는 라이브러리이며, 이 라이브러리를 통한 액션 태그를 사용하여 JSP에 스크립틀릿과 같은 자바코드를 줄일 수 있다.

JSTL을 가지고 변수를 선언하고 if문, for문 등의 간단한 로직을 구현할 수 있으며 다른 JSP페이지를 호출하고 날짜, 시간, 숫자의 포맷을 변경할 수도 있다.

JSTL을 구성하는 라이브러리들이 몇몇 존재하는데 여기서는 코어와 포메팅 라이브러리에 대해 알아보도록하자. 우선 JSTL을 jakarta.apache.org에 접속하여 라이브러리를 받도록하자. 내려받은 파일은 톰켓에 lib폴더에 넣어주자. 그리고 taglib 지시자로 태그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해야한다.
<%@taglib prefix="c" uri="http://java.sun.com/jsp/jstl/core"%>

이렇게하여 커스텀 액션 태그가 추가되었다. 그럼 커스텀 태그의 사용에 대해 알아보자.
<c:set>
- 변수를 선언하고 변수에 초기값을 대입하는 기능의 커스텀 액션
예) <c:set var="result" value="100"></c:set>

또는 <c:set var="result" value="${num}></c:set>처럼 EL문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태그의 속성값인 scope를 통해 네 가지의 내장객체에 어트리뷰트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도록 하자.

<c:if>
- 프로그램의 if문과 비슷한 역할
예) <c:if test="${num1>num2}">

이렇게함으로써 num1과 num2의 조건관계를 알아볼 수 있다.

<c:choose>
- 프로그램에서 switch의 역할과 비슷하다.
예)
<c:chooes>
    <c:when test="${num==0}">
        Hello JSP<br>
    </c:when>
    <c:otherwise>
        Bye<br>
    </c:otherwise>

<c:forEach>
- 프로그램의 for문
예 1.) <c:forEach begin="0" end="10">
              Hello JSP<br>
        </c:forEach>

기본적으로 0부터 10까지 증가가 1씩되면서 Hello JSP를 10번 출력한다. 증가의 수를 변경하고 싶다면 속성 step에 수를 입력하면 된다.(step="2")

예 2.) <c:forEach var="i" items="${arr}">
             ${i}<br>
         </c:forEach>

데이터를 여러개 담고 있는 컬렉션을 하나씩 돌려 저장된 객체를 리턴시켜 줄 수 있다.
그 종류는 배열뿐만 컬렉션 아니라 arraylist, map, iterator, enumeration객체들과 콤마로 구분된 항목을의 문자열을 의미한다.

<c:forTokens>
- 자바의 StringTokenizer와 for문이 합쳐진 것과 같다.
예) <c:set var="guests" value="토끼^^거북아~사슴"/>
      <c:forTokens var="animal" items="${guests}" delims="^~">
          ${animal}<br>
      </c:forTokens>

<c:redirect>
-response.senRedirect()와 같다
예) <c:redirect url="http://~~"/>

[JSP] EL(Expression Language)

JSP를 이용하고 코딩을 할 때 불편함이 있는데 그것은 자바코드와 HTML코드, 거기다 스크립트코드가 모두 혼합해서 사용될 때 너무 지저분해 보이는 것이다.

JSP에는 자바코드를 줄이고 데이터를 출력하는데 좀 더 간결한 익스프레션 언어(EL)를 제공한다. 익스프레션 언어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예) ${cnt};

JSP의 익스프레션과는 구별해야한다. EL에서는 어트리뷰트 이름을 이용하여 값을 출력한다. 그러므로 setAttribute()와 getAttribute()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얻었던 작업을 줄여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request.setAttribute("result", 100) 이라고 request객체에 "result"라는 이름으로 100이라는 데이터를 저장하였다. 그렇다면 이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 request의 getAttribute()메서드를 호출하여 얻어야 하지만 EL에선 ${result}로 데이터를 손쉽게 얻을 수 있다.

JSP의 내장 객체 중 scope의 범위에 따른 네 가지 종류의 객체를 살펴보았다.
page, request, session, application 이 그것이다.
이들 모두 set(), get()메서드를 이용하여 어트리뷰트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당연히 EL을 통해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하다.

그렇다면 이들 네 가지 객체 어떻게 EL구문 만으로 데이터를 읽어 들일 수 있을까?
그 이유는 page -> request -> session -> application 순으로 어트리뷰트를 찾아가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좀더 명확한 내장 객체의 어트리뷰트를 표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사용하기도 한다.
예) ${pageScope.result}

page내장 객체의 어트리뷰트에 result로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출력하라는 EL구문이 되겠다.

이 네가지 내장 객체뿐만 아니라 더많은 객체가 존재하여 EL구문을 활용할 수 있다.
pageScope : page 어트리뷰트의 집합
requestScope : request 어트리뷰트의 집합
sessionScope : session 어트리뷰트의 집합
applicationScope : application 어트리뷰트의 집합
param : 웹 브라우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집합(예 ${param.result})
paramValues : 웹 브라우저로부터 입력된 여러 데이터의 집합(예 ${paramValues.result[0]})
header : HTTP요청 메세지에 있는 HTTP헤더의 집합(사용법은 param과 같다)
headerValues : HTTP요청 메세지에 있는 여러 HTTP헤더의 집합(사용법은 paramValues와 같다)
cookie : 웹 브라우저로부터 전송된 쿠키의 집합(예 cookie.result.value)
initParam : 웹 어플리케이션의 초기화 파라미터의 집합
pageContext : JSP페이지의 환경 정보의 집합

EL은 연산과 비교조건이 가능하다.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문법과 비슷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Empty 연산자를 알아보자.
${empty result}라고 사용하면 result이름으로 데이터 값이 존재하는지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리턴형은 Boolean이다.


2013년 3월 13일 수요일

[JSP] JDBC

지금까지는 쿠키와 세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접속상태를 확인해 보았다. 그러나 많은 데이터나 지속적으로 보관되어야 할 데이터는 궁극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되어야 할 것이다.

JSP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와의 연동을 하기 위한 과정을 살펴 보도록하자.

1. JDBC 드라이버 준비
JDBC 드라이버(ojdbc14.jar)를 톰캣에 lib폴더에 복사하자. 오라클이 설치되어 있는 폴더 안에 ojdbc14.jar파일이 있다. jar이란 확장명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자바와의 연동을 위한 드라이버이다.

2. 드라이버 로드
JSP에서 Class.forName("oracle.jdbc.driver.OracleDriver") 으로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의 가상드라이버를 로드한다. 그래야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할 API를 사용할 수 있다. MySql과 MS SQL 서버는 다음과 같다.

MySql - com.mysql.jdbc.Driver
MS SQL 서버 - com.microsoft.sqlserver.jdbc.SQLServerDriver

3. 데이터베이스 연결
데이터베이스와의 연결을 위해서 Connection이라는 객체가 필요하다. 이 객체를 구하기 위해 3가지 준비물이 필요하다.
- url
- 사용자 계정
- 패스워드

url은 데이터베이스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한다. 오라클에서는 다음과 같은 url을 가진다.
jdbc:oracle:thin:@HOST:PORT:SID

위에서 thin이 의미하는 바는 자바언어로 구현되어 있다는 의미이고 OCI일 경우도 있는데 이는 네이티브 모듈을 사용한다.
사용자 계정과 패스워드는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DBMS의 계정와 패스워드를 의미한다.

4. Connection객체 얻기
위에 세 가지의 정보로 Connection 객체를 얻을 수 있는데 DriverManager클래스가 제공하는 getConnection()메서드를 사용한다.
DriverManager.getConnection(String url, Stirng uesr, String password)

5. Statement를 사용한 쿼리 실행
Connection 객체로 Statement 객체를 생성하고 쿼리 질의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PrepareStatment를 사용한다. 그 이유는 둘다 성능의 차이는 없으나 PrepareStatment는 sql문의 틀을 미리 생성해 놓고 값은 나중에 지정한다는 것이다.또한 sql문에 ?부분을 setString(index, 원하는값)으로 치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repareStatement pstmt = connection.createStatement();

Preparestatement를 사용하여 쿼리를 실행 할 수 있는데 select 질의를 할 경우 리턴값은 테이블의 로우들이기 때문에 ResultSet 객체로 받아야한다.
ResultSet result = pstmt.executeQuery(String sql);

또는 insert와 update, delete와 같은 테이블 구조변경 질의를 실행하면 그 결과로 -1, 0 ,1을 전달하는데 -1일 경우는 쿼리문 실패, 0일 경우는 쿼리문에 오류는 없으나 DB의 변경이 없음, 1은 성공을 의미한다. 코드는 다음과 같다.
int result = pstmt.executeUpdate(String sql);


6. ResultSet 객체 사용
쿼리문 질의를 통해 얻은 결과로 ResultSet 객체를 얻을 경우. 하나의 row(튜플)을 검색하기 위해 next()메서드를 사용하면 된다. 하나의 로우만을 출력하기 위해서 if(rs.next())로 처리하고 많은 양의 로우를 처리하기 위해서 while(rs.next())로 처리해주어야 한다.

간단한 예로 데이터베이스에 id와 password를 입력하는 메서드를 살펴보자.

public int insertMember(Register register){

Connection con = null;
PreparedStatement pstmt = null;
String sql = "insert into Member values(?,?)";
String url = "jdbc:oracle:thin:@localhost:1521:XE";
String user = "hr";
String password = "1234";
int check = -1;

try{
Class.forName("oracle.jdbc.driver.OracleDriver");
con = DriverManager.getConnection(url, user, password);
pstmt = con.prepareStatement(sql);
pstmt.setString(1, register.getId());
pstmt.setString(2, register.getPass());
check = pstmt.executeUpdate();
}catch(Exception e){
e.printStackTrace();
}finally{
if(pstmt != null){
try{
pstmt.close();
}catch(Exception e){
e.printStackTrace();
}
}
if(con != null){
try{
con.close();
}catch(Exception e){
e.printStackTrace();
}
}
}
return check;
}

이 방법이 가장 기본적인 DB와의 연결이다. 그러나 매번 데이터베이스와의 연동을 위해 해야하는 코딩이 제법 많은 편이다.

2013년 3월 11일 월요일

[JSP] 자바 빈

보통 웹사이트를 둘러보면 Form태그의 입력창에다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웹 서버에 데이터의 처리를 요청한다. 요청받은 데이터는 JSP를 통해 처리되는데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해야하는 경우가 많다.

JSP에서는 요청받은 데이터를 받아 데이터를 저장할 객체를 생성한다.
이 객체를 자바 빈이라고 하며 form으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객체로 보관하기 위해 사용한다.

자바 빈을 생성한 뒤 실제로 DB에 저장하기 위해 DAO(Data Access Object)라는 데이터 접근 오브젝트를 사용한다. 이 때 DAO는 static클래스이기 때문에 static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JSP에서 자바 빈을 사용할까?
<jsp:useBean> 태그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자바 빈 객체를 만들 수 있다.

예) <jsp:useBean id="obj" class="mall.PersonalInfo"/> //자바 빈 생성
<jsp:setProperty name="obj" property="*"/>//form으로부터의 모든 데이터 저장
<jsp:setProperty name="obj" property="age" value="27"/>//자바 빈 객체에 age라는 변수에 27을 삽입

JSP에서 가장 중요힌 것은 데이터를 어떻게 전달하고 전달받는 것인가이다. 명심하도록 하자!

데이터 전달방법
1. form태그에서 submit으로 데이터 전달(hidden시켜서 데이터를 전달해야하는 경우도 있다.)

2. a태그에서 href속성을 이용한 데이터 전달
예) <a href="Index.jsp?contents=module/register.jsp">회원가입</a>

3. request.setAttribute()로 request내장 객체에 속성값을 지정하여 request객체를 전달

4. 자바 액션 태그 forward를 이용한 데이터 전달. param에 데이터 값 지정
예)<jsp:forward page="Index.jsp">
    <jsp:param value="module/confirm.jsp" name="contents"/>
    </jsp:forward>

5. sendRedirect()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달. a태그사용법과 같다.
예) response.sendRedirect("login_form.jsp?id=aaa");

6. 액션 태그 useBean응 이용하여 빈 객체를 생성하여 객체를 저장한다. 빈 객체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달이 가능하다.
예)<jsp:useBean id="register" class="kosta.register.Register"></jsp:useBean>
    <jsp:setProperty property="*" name="register"/>

2013년 3월 10일 일요일

[JSP] JSP의 내장객체

JSP에는 선언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는 내장객체를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request는 서블릿 클래스에 있는 doGet, doPost메서드의 첫 번째 파라미터와 동일한 역할을 한다. out은 서블릿 클래스에서 getWriter메서드를 호출해서 얻는 PrintWriter객체와 같은 역할을 한다.

이처럼 JSP에서 서블릿의 객체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웹 컨테이너가 JSP를 서블릿으로 변환 할 때 자동으로 선언해 주기 때문이다.

그럼 JSP에는 어떠한 내장객체가 있으며 어떤 기능이 있는지 살펴보자.

request : doGet, doPost 메서드의 첫 번째 파라미터와 동일한 역할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response : doGet, doPost 메서드의 두 번째 파라미터와 동일한 역할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sponse)
out : 웹 브라우저로 HTML코드를 출력하는 기능
(javax.servlet.jsp.JspWriter)
application : JSP페이지가 속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기능
(javax.servlet.ServletContext)
config : JSP페이지의 구성 정보를 가져오는 기능
(javax.servlet.ServletConfig)
pageContext : JSP페이지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 기능 등
(javax.servlet.jsp.PageContext)
session : 세션에 관련된 기능
(javax.servlet.http.HttpSession)
page : JSP페이지로부터 생성된 서블릿
(java.lang.Object)
exception : 익셉션 객체
(java.lang.Throwable)

response 내장 객체의 sendRedirect메서드는 파라미터로 지정한 URL을 직접 호출하는 것이 아니라 메세지를 웹 브라우저로 보낸다.
application 내장 객체에 getContextPath메서드와 getRealPath메서드를 이용하여 웹 어플리케이션의 상대경로와 절대경로를 알 수 있다.

2013년 3월 8일 금요일

[JSP] JSP

JSP의 등장배경과 그 쓰임에 대해서는 앞에서 언급하였다. JSP는 HTML문서에 JSP 문법의 코드가 삽입되는 형태로 작성된다.
JSP 페이지에 있는 HTML 코드는 웹 브라우저로 그대로 전송되지만, JSP문법의 코드는 웹 컨테이너 쪽에서 실행되고 그 결과만 웹 브라우저로 전송된다.

웹 컨테이너는 JSP페이지 전체를 서블릿 클래스의 소스코드로 변환하고, 다음에 소스 코드를 컴파일 후 결과를 가지고 서블릿 객체를 만든다. 그 뒤 서블릿 객체를 초기화해서 서블릿을 만든다. 따라서 웹 브라우저로부터 URL이 왔을 때 실행 되는 것은 서블릿이다.

JSP문법의 세가지 형태
1. <%로 시작%>로 끝나는 형태
2. ${로 시작}로 끝나는 형태
3. <jsp:forward>나 <C:if>와 같은 XML태그 형태

세가지 형태 중 첫 번째 문법에서 지시자와 스크립팅 요소로 나눠진다.
우선 스크립팅 요소부터 살펴보자. 스크립팅 요소에도 세가지 문법이 있다.
1. 스크립틀릿
2. 익스프레션
3. 선언부

스크립틀릿은 <% %>사이에 자바 명령문이 들어갈 수 있으며, 명령문은 웹 서버쪽에서 실행 되는 코드이다.

익스프레션은 <%= %>로 표현하고 그 사이에 자바의 결과값을 출력하는 문법이다. 따라서 변수나, 식, 함수를 넣어줄 수 있으며 그 결과값을 출력해 준다.

선언부는 <%! %>이며 사이에 변수 선언이나 메서드 선언을 쓸 수 있다. 자바에서 멤버 변수 또는 메서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자바의 public, private, protected, final, static과 같은 키워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JSP는 스레드 기반으로 작동하는 서블릿으로 변환될 것이므로 인스턴스 변수를 선언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점점 JSP에서 자바 코드와 같은 로직을 처리해 주는 코드를 점점 없애려는 추세이기 때문에 자주 쓰이는 형태는 아니다.

지금까지 스크립팅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지시자에 대해 알아보자.
지시자는 웹 컨테이너가 JSP페이지를 서블릿 클래스로 변환할 때 필요한 정보들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하는 문법이다. 세가지의 지시자가 있다.
1. Page지시자
2. Include지시자
3. Taglib지시자

지시자는 <%@ %>로 표현하며 첫 번째 요소로 지시자의 이름이 오고 다음으로는 속성들이 올 수 있다.
예)<%@page 속성 속성 %>

page지시자
JSP페이지 전체에 적용되는 정보를 기술하여 WAS에게 전달.

page지시자 속성
contentType : JSP페이지가 생성하는 문서의 종류, 그 문서를 웹 브라우저로 전송할 때 사용되는 인코딩 타입
import : 스크립팅 요소 안에서 사용할 자바 클래스와 인터페이스를 임포트
buffer : 출력 버퍼 크기
autoFlush : 출력 버퍼가 찼을 때의 동작
isThreadSafe : JSP페이지가 싱클 또는 스레드 모드로 작동하도록 설정
session : JSP페이지의 세션 참여 여부
errorPage : 에러를 처리할 JSP페이지의 URL
isErrorPage : 에러를 처리하는 JSP페이지인지 여부
isELIgnored : 익스프레션 언어의 무시 처리 여부
pageEncoding : JSP페이지의 인코딩 타입
info : JSP페이지에 대한 설명
extends : JSP페이지로부터 생성되는 서블릿 클래스의 슈퍼클래스
language : 항상 java로 설정되어 있으며 스크립팅을 구현할 언어 설정

include지시자
다른 JSP페이지나 HTMl문서를 불러다가 현재 JSP페이지의 일부로 만들기 위해 서용한다.
예)<%@include file="A.jsp"%>

위의 예처럼 불러온 대상은 file이라는 애트리뷰트를 이용해서 지정할 수 있으며, 속성값은 지시자가 속하는 JSP페이지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URL로 해석된다.
이처럼 include지시자를 사용함으로써 중복이 되는 JSP페이지를 만들 필요없이 include시켜줌으로써 개발 시간을 단축시키는 등의 이점을 잘 알아두자.
include지시자와 <jsp:include>액션 태그의 차이가 있으니 잠시 언급하겠다.


Taglib지시자
JSP페이지에 사용할 태그 라이브러리를 지정. 표준화된 태그 라이브러리를 JSTL이라고 한다. JSTL을 사용하기 위해서 태크라이브러리 지시자를 꼭 써야한다.
예) <%@taglib profix="c" uri="http://java.sun.com/jsp/jstl/core"%>

 Taglib를 이용하여 JSP페이지 내에 불필요한 자바 코드를 줄일 수 있다. 자바 코드를 줄임으로써 웹 어플리케이션의 표현과 비즈니스 로직을 구분하기 위함이다. 특히 액션 태그를 많이 활용할 것이다. 액션 태그를 살펴보자.

액션태그
<jsp:include page="A.jsp"/> A.jsp페이지를 현제 페이지로 include(페이지 모듈화를 통해 템플릿을 만들기 수월하다)
<jsp:forward page="A.jsp"/> 현제 페이지의 제어를 A.jsp로 전달
<jsp:useBean scope="page" id="cls" class="xx.MyBean"/> xx페키지의 MyBean 클래스를 class로 page 범위에서 사용할 것

[JSP] 서블릿

앞서 서블릿이 무엇인지에 대해 언급하였다.

모든 자바 기반의 웹 어플리케이션은 서블릿에 의해 구동된다. 그러므로 웹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html 문서와 함께 데이터의 로직을 처리하고 결과값을 전달하기가 매우 어렵다. 왜냐하면 html문서는 브라우저에 의해 해석되어 화면에 보여지는 출력을 담당하지만 서블릿을 비즈니즈 로직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함께 구현 되어지면 코드가 얽혀 매우 복잡한 코드가 된다.

이런 문제를 개선시키기 위해 JSP가 등장한다. HTML문서에서 프로그램 구현이 가능하도록한 스크립팅 기술을 제공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모든 프로그램의 구현을 JSP로 하지 않고 출력에 대한 부분에 많이 초점을 두고 실제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기 위해서 MVC패턴을 이용한다. MVC에 대한 내용은 뒤에 하도록 하자.

이처럼 JSP의 등장과 더블어 MVC패턴으로 인해 서블릿의 구현은 잘 하지 않는다. 그러나 서블릿을 알고 있어야한다. 왜? 모든 JSP는 서블릿으로 변환되어 구동되기 때문이다. 즉, 웹서버에서 원하는 데이터는 결국 서블릿이 처리해주는 것이다.

그렇다면 서블릿의 동작을 살펴보자.

처음 웹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의 데이터의 처리를 Was(웹 어플리케이션 컨테이너)에 요청한다. 컨테이너에서 제일 처음에 데이터 처리를 위한 해당하는 서블릿 클래스를 찾는다. 해당하는 클래스가 존재하지 않으면 서블릿 객체를 생성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서블릿 객체는 메모리에 올려지게 됨으로 그 이후로 계속되는 데이터 처리요청을 스레드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서비스 해 줄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모든 요청이 종료되면 해당하는 스레드가 종료하게 된다.

서블릿의 장, 단점에 대해 알아보자
장점
- 스레드 기반이기 때문에 웹 어플리케이션 운영에 효율적
- 자바를 기반으로 하므로 자바 API를 모두 사용가능
- 운영체제나 하드웨어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자바의 장점)

단점
- 비즈니스 로직의 처리와 화면 출력을 위한 처리를 모두 해야한다.
- 프로그래머가 HTML, 자바스크립트, 스타일시트 등 모든 기술을 알고 있어야 한다.

아래는 html로 부터 넘어온 데이터에 대해 get방식으로 처리해주는 서블릿 doGet메서드이다.

protected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request.setCharacterEncoding("euc-kr");//요청받은 데이터의 문자를 euc-kr로 인코딩

String name = request.getParameter("name");
String address = request.getParameter("address");

response.set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출력할 내용의 타입을 html로 설정하고 euc-kr로 한글이 전달되도록 설정
PrintWriter out = response.getWriter();

out.println("<html><head></head><body>");
out.println("<b>" + name + "</b>");
out.println("<b>" + address + "</b>");
out.println("</body></html>");

out.close();
}
요청과 함께 넘어돈 데이터를 request란 객체를 이용하여 전달받고 적절한 처리를 한뒤 response객체에 출력값을 저정하여 다시 내보내는 과정이다. 이 예제를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2013년 3월 7일 목요일

[JSP] 웹 어플리케이션

지금까지 자바를 이용해 프로그래밍을 해보고 html과 css를 활용하여 웹을 만들었다. 그리고 자바스크립트와 jQuery를 이용하여 이벤트를 통해 클라이언트 측 브라우저에서 서버로 요청을 하고 요청에 의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측에서 잘 출력하기 위한 과정을 진행해보았다. 즉, 클라이언트 측에서 데이터를 전달하고 전달받은 데이터 출력부분을 살펴보았단 뜻이다.

그렇다면 지금부터는 서버측에서 요청받은 데이터의 처리와 다양한 작업을 하는 것이 순서일 것이다. 서블릿과 JSP는 이 서버에서 요청받은 데이터를 처리하고 응답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이라고 할 수 있다.

서블릿 : 자바 기반의 웹 프로그래밍 기술로써 자바 언어의 모든 기능을 사용해 웹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스레드 기반으로 데이터를 처리해 줌으로써 빠른 속도를 자랑한다. 그러나 서블릿은 프로그램을 구현하는데는 좋지만 화면을 출력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어려움이 많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한 것이 JSP이고 JSP는 내부적으로 서블릿 기술에 기반하고 있다.

JSP : 서블릿 기반의 서버 스크립트 언어로써 오늘날 가장 대표적인 웹 프로그래밍 기술이다. 서블릿의 단점인 화면상의 출력을 보완해 줄 수 있다. JSP 역시 자바 기반의 언어이므로 자바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우선 웹 어플리케이션은 무엇일까?
웹을 기반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우리가 즐겨 사용하는 웹의 동작 순서를 보자.
1. 사용자가 원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 url을 주소창에 입력한다.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요청을 하는 과정이다.

2. 해당 웹 서버에는 요청을 받아들여 요청에 해당하는 응답을 하게 된다. 이때 웹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데이터 처리를 위해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연동이 이루어진다.

3.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웹 서버가 받아서 클라이언트측에 보내줌으로써 클라이언트 브라우저에서 결과화면을 볼 수 있다.

웹 서버와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무엇을까? 웹 서버는 대표적으로 Apache와 마이크로소프트의 IIS가 있다. 웹 서버의 역할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적절한 응답을 하는 것이다. 이때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요청하게 될때 JSP가 톰캣이라는 웹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서블릿 자바코드로 변환이 이루어지고 컴파일 된다.

즉, 적절한 응답을 위한 데이터처리와 로직을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처리한다. BEA사의 웹로직, IBM의 웹스파이어 SUN의 iPlanet 등이 있고 국산으로는 제우스가 있다. 이들 웹 어플리케이션을 Was라 부른다.

 여기서는 톰캣이라는 Wa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구현할 것이다. 톰캣은 자바코드로 비지니스 로직을 서블릿과 JSP로 처리하기 위한 컨테이너이다.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일종인 톰켓은 상용화가 목적이 아니면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JSP가 서블릿 형태로 변환하여 순수한 자바코드로 컴파일하게 되는데 톰캣은 서블릿과 JSP와 같은 자바코드를 완벽하게 지원한다. 그리고 J2EE 자바환경을 사용한다. J2EE는 서블릿과 JSP와 같은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구현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자바기술환경이다.

이클립스를 하면서 중요한 부분은 폴더 구성이다. JSP가 들어가야할 디렉토리, 서블릿이나 라이브러리들이 포함될 디렉토리 경로에 대해 잘 파악해 두도록하자.


서블릿의 생명주기(Life Cycle)
서블릿 요청 -> JSP -> 서블릿 자바소스 코드 -> 서블릿 클래스 파일 -> 서블릿 객체 생성(처음에 한번만 Init()수행) -> 서블릿 응답(Doget(), Dopost())



2013년 3월 5일 화요일

[JS] jQuery - Ajax

 여기서는 Ajax에 관련된 jQuery메소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자바스크립트에서 XMLHttpRequest객체를 활용해 보았는데 jQuery에서는 훨씬 간단하게 서버에게 데이터를 요청하고 전달받은 데이터를 조작하는 것도 더 쉽다.

Ajax는 항상 이벤트로부터 시작한다는 간단한 사실을 잊지말자!

하나씩 Ajax를 위한 메소드를 살펴보자.

$(seletor).load(url, parameters, callback)
- url : 요청이 전송되는 서버 url
- parameters : url에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
- callback : 응답 결과로 데이터를 수신한 뒤 호출되는 함수

load함수의 결과로 html의 요소로 넘겨받을 경우 호출한 객체의 자식으로 들어감. 전달받은 데이터가 html의 요소이기 때문에 웹상에서 화면에 결과를 보여주기에 용이하다.

$.get(url, parameters, callback)
url을 사용하여 서버에 파라미터 값을 url에 문자열로 삽입하여 GET전송. callback함수로 데이터를 얻음. 이 방식이나 post방식을 이용하면 text뿐만 아니라 xml문서요소도 받을 수 있다. xml일 경우 DOM객체 형식으로 부모 자식관계를 잘 이용하여 데이터를 참조해야한다.

$.post(url, parameters, callback)
url을 사용하여 서버에 파라미터 값을 본문에 삽입하여 POST전송. callback함수로 데이터를 얻음(TEXT or XML)

여기서 잠깐!
 get과 post의 의미를 좀 더 설명하자면 get 방식은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할 때 url에 문자열을 붙여 전송한다. 따라서 url길이에 제한적이며 형식에 맞지 않는 문자는 encoding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또한 url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post 방식은 모든 데이터를 http헤더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길이에 제한이 없고 사용자가 볼 수 없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get보다는 문자의 encoding의 필요성은 상대적으로 낮으나 비영어권과 같은 특수한 환경일 경우는 encoding이 필요하다.

$.getJSON(url, parameters, callback)
url을 사용하여 서버에 파라미터 값을 본문에 삽입하여 POST전송. callback함수로 JSON 데이터를 얻음(TEXT or XML)
참고로 json 객체를 얻게 되면 항상 키와 값으로 원하는 데이터를 참조한다.

$.getScript(url, callback)
url을 사용하여 서버에 GET전송

왜 스크립트를 클라이언트에서 get요청을 할까? 그 이유는 처음부터 많은 스크립트를 로드할 경우 로딩시간이 그만큼 길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고 특정한 이벤트나 자주 사용하지 않는 기능을 위한 스크립트는 나중에 로딩해주는 경우를 위해서이다.

$.ajax(options)
- options : 요청에 대한 매개변수를 정의하는 객체

options의 속성종류
url : 요청url
type : 사용 할 HTTP메서드(생략시 GET)
data : 요청에 전달될 객체(object)
dataType : 응답의 결과로 반환되는 데이터의 종류(xml, html, json, jsonp, script, text)
timeout : Ajax요청의 제한시간, 제한시간초과시 error callback 호출되거나 요청 취소
global : true : 전역함수활성 false : 전역함수비활성
contentType : 요청에 지시되는 contentType, 기본값 :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success : 응답이 성공시 호출되는 함수
error : 응답이 에러상태 코드를 반환하면 호출되는 함수
complete : 요청이 완료되면 호출되는 함수(success 또는 error 후 실행)
beforeSend : 요청전송 이전에 호출되는 함수
async : true : 비동기호출, false : 동기호출
processData : flase시 url인코딩 형태로 처리되어 전달되는 데이터를 금지
ifModified : true시 헤더정보 확인하여 미변경시 요청 성공

ajax 전역함수
ajaxStart(callback)
ajaxSend(callback)
ajaxSuccess(callback)
ajaxError(callback)
ajaxComplete(callback)
ajaxStop(callback)

사용예
$(document).ready(function() {
$("#letter-d a").click(function() {
$.ajax({url:"d.xml",
dataType:"xml",
success:function(data) {
$("#dictionary").empty();
$(data).find("entry").each(function() {
$entry = $(this);
var html = "<div class='entry'>";
html += "<h3 class='term'>"+ $entry.attr("term") + "</h3>";
html += "<div class='part'>"+ $entry.attr("part") + "</div>";
html += "<div class='definition'>" + $entry.find("definition").text() + "</div>";
html += "</div>";
$("#dictionary").append(html);
});
}
});
return false;
});
});

2013년 3월 4일 월요일

[JS] JavaScript - Ajax

Ajax 란?
Asynchronous JavaScript XML의 약자로써 페이지의 이동 없이 클라이언츠에서부터 전달한 데이터의 요청을 서버에서 DB와 관련하여 적절한 처리 후 응답하여 하나에 웹페이지에서 모든 동작이 가능하게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구글의 지도나 검색시 검색창 아래에 관련 검색이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

비동기식(Asynchronous)이라는 단어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간으로 일어나는 순간의 이벤트에 대해 계속해서 데이터의 전달과 데이터 교환이 모두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만약 동기식으로 하나의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다른 요청을 받을 수 없는 상황이 되면 동적인 웹을 구성하기는 어렵다.

그럼 기본적인 자바스크립트만으로 Ajax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위에 그림을 보면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청이 XMLHttpRequest로 전달 되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고 서버에서 처리한 데이터(XML, TEXT, JSON)들도 XMLHttpRequest로 전달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XMLHttpRequest를 다루는 것이 Ajax에서 중요한 부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XMLHttpRequest는 사용자의 요청을 웹서버에 전송하고 결과를 웹브라우저에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하며 클라이언트가 서버와 통신을 하는데 중요한 객체이다.

자바스크립트에서 XMLHttpRequest 객체를 생성해보자.
var request = new XMLHttpRequest();

다음은 open()메서드를 이용하여 전송위치와 전송방식, 동기와 비동기를 설정.
request.open("GET", "hello.jsp", false);//전송위치에는 이미 만들어 놓은 jsp파일로 지정, false는 동기 방식, true는 비동기 방식

request.send();//전송위치로 객체를 전송!

여기까지가 기본적인 XMLHttpRequest 객체 사용법이다.
그렇다면 원하는 데이터는 어떻게 전송시킬 수 있을까? 전송방식이 GET일 경우 다음과 같이 데이터를 넘길 수 있다.
예)
request.open("GET", "hello.jsp?name=kylor", false);
데이터를 처리해 주는 jsp에 ?를 붙이고 name에 kylor이라는 문자를 넘겨주었다. 서버에서는 name에서 문자열을 추출하여 처리할 수 있게 된다.

그렇다면 데이터가 잘 전송되었는지는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
onreadystatechange이벤트로 확인가능하다. onreadystatechange이벤트는 XMLHttpRequest의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호출된다.

onreadystatechange이벤트가 호출될 때 XMLHttpRequest객체의 상태를 readyState속성으로 확인가능하다.
readyState 속성은 0부터 4까지 상수로 존재한다.
0 : 초기화 안됨
1 : send 사용전
2 : 데이터 받지 못함
3 : 상호작용 중(일부)
4 : 완료

완료가 된 상태에서 XMLHttpRequest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Ajax요청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했더라도 데이터가 올바른 데이터인지 확인해 보아야 한다. 이를 위해 HTTP Status Code를 사용한다.
1.XX : 처리 중
2.XX : 성공
3.XX : 리다이렉트
4.XX : 클라이언트 오류
5.XX : 서버 오류

따라서 다음과 같은 코드가 함께 추가되야 한다.

request.onreadystatechange = function(event){
if(request.readyState == 4){
if(request.status == 200){
...처리....
}
}
}

그렇다면 XMLHttpRequest를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리턴받은 XML, JSON을 어떻게 다룰 수 있을까?
JSON일 경우
var json = eval("(" + request.responseText + ")");
json객체를 리턴받아 키와 값으로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XML일 경우
var xml = request.responseXML;
xml객체를 리턴받아 문서구조로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JS] jQuery - 객체 위치 시키기

jQuery를 하면서 선택자가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언급하였다. 그리고 jQuery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메소드 덕분에 자바스크립트로는 까다로운 부분을 비교적 쉽게 구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jQuery의 또다른 장점이 있다. 그것은 얼마든지 동적으로 객체를 생성하고 내가 원하는 자리에 넣을 수 있는 메서드도 제공하기 때문이다. 여기서는 한번 언급하긴 하였으나 제대로 된 설명이 필요했던 메서드들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자.

우선 객체의 생성을 보자
$()을 사용하여 객체를 쉽게 생성할 수 있다.
예)
$("<h1></h1>");//h1태그 생성

객체를 생성했다면 문서에 연결이 필요하다.
예)
$("body").append($("h1"));//body에 h1태그 삽입

중요한 메서드가 바로 append()이다. 생성한 객체를 원하는 객체 앞이나 뒤에 연결을 해야 하는데 jQuery에서는 8가지의 메소드를 제공한다. 8가지 메소드는 부모자식관계와 형제관계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부모자식관계
$(A).append(B) : 위에서 언급한 메소드이다. 부모 A태그 가장 뒤에 B태그를 위치시킴
$(A).prepend(B) : 부모 A태그 가장 앞에 B태그를 위치시킴
$(A).appendTo(B) : to로 인해 헷갈릴 수 있는 메서드다 주의하자. A태그를 부모 B태그 가장 뒤에 위치시킴
$(A).prependTo(B) : A태그를 부모 B태그 가장 앞에 위치시킴

다음은 형제관계를 보도록 하겠다. 하지만 그전에 도대체 왜 To를 이용하여 선택자에 따른 메소드의 종류를 많이 만들었을까 생각해보자. 그 이유는 체인 메소드를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수정한 객체가 부모 태그일 경우나 자식 태그일 경우로 나눠지게 때문이다. 선택한 객체가 자식태그였다면 appendTo나 prependTo를 이용하여 부모태그에 포함시키는 것이 당연하다.

자 설명은 이쯤하고 형제관계를 보자.
$(A).before(B) : A객체 앞에 B를 위치시킴
$(A).after(B) : A객체 뒤에 B를 위치시킴
$(A).insertBefore(B) : A객체를 B앞에 위치시킴
$(A).insertAfter(B) : A객체를 B뒤에 위치시킴

원하는 객체를 원하는 위치에 이동시키기 위해서 꼭 알아야하는 메소드이다. 잘 알아두자.


2013년 3월 1일 금요일

[JS] jQuery - 애니메이션

기본 애니메이션을 위한 메서드(동적인 상태라는 것을 상기하자)
show() : 문서 객체가 커지게한다.
hide() : 문서 객체가 사라지게한다.
toggle() : show()와 hide()메서드를 번갈아 가며 실행
slideUp() : 문서 객체가 슬라이드 효과와 함께 위로 접힘
slideDown() : 문서 객체가 슬라이드 효과와 함께 아래로 펼쳐짐
slideToggle() : slideDown()과 slideUp()메서드를 번갈아 실행
fadeIn() : 문서 객체를 선명하게 보여줌
fadeOut() : 문서 객체를 사라지게 함
fadeToggle() : fadeIn()과 fadeOut()메서드를 번갈아 실행

메서드 사용 형태
1. $(selector).method();
2. $(selector).method(speed);
3. $(selector).method(speed, callback);
4. $(selector).method(speed, easing, callback);

speed : 애니메이션을 진행할 속도 지정(밀리초 단위의 숫자 또는 "slow", "normal", "fast" 입력)
callback : 애니메이션을 모두 완료한 후 실행할 함수를 지정
easing : 애니메이션을 미묘하게 변화시킬 함수를 지정

사용자 정의 애니메이션
1. $(selector).animate(object);
2. $(selector).animate(object, speed);
3. $(selector).animate(object, speed, easing);
4. $(selector).animate(object, speed, easing, callback);

-object 속성종류
opacity, top, left, right, bottom, top, width, margin, padding

애니메이션 사용에 많은 예가 있다. 그 중 이미지를 클릭하면 순차적으로 이미지가 바뀌는 애니메이션 예를 보자.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EUC-KR">
<title>Change Images</title>
<style type="text/css">
.image {
position: absolute;
top: 10px;
left: 10px;
}

.image img{
width: 300px;
height: 380px;
cursor: pointer;
}
</style>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jquery.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document).ready(function(){
$("img").hide();

$("img:first").show();
$("img").click(function(){
$(this).each(function(){
//alert(this.src);
if(this == $("img:last").get(0)){
$("img:first").fadeIn("slow");
$(this).hide();
}else{
$(this).parent().next().children().fadeIn("slow");
$(this).hide();
}
})
})
})
</script>
</head>
<body>
<a class="image"><img src="../script/images/bg14.jpg"/></a>
<a class="image"><img src="../script/images/bg15.jpg"/></a>
<a class="image"><img src="../script/images/bg16.jpg"/></a>
<a class="image"><img src="../script/images/bg17.jpg"/></a>
<a class="image"><img src="../script/images/bg18.jpg"/></a>
</body>
</html>